국내 인공지능 ai 챗봇서비스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인공지능(AI) 기술과 서비스들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 속에서도 AI기술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나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업에서는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이 중 하나로 ‘챗봇’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채널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러 기업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들이 어떤 것이 있고 기능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챗봇 채팅상담이란?

채팅상담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1:1 대화형 상담을 말합니다. 요즘 넘쳐나는 고객 상담 업무로 인해 이런 유형의 챗봇을 활용한 채팅상담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기존 전화상담과는 달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문의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PC뿐만 아니라 모바일로도 간편하게 접속해서 원하는 답변을 얻을 수 있고, 여러가지 플랫폼을 통해서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높은 효율성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보통 정해진 답만 나오는 경향이 있고 아직은 챗봇 인공지능이 기존 전화상담에 비해서는 정확성과 다양한 질문에 대한 결과가 부족한 편입니다. 하지만 각 기업에서 지속적인 업테이트와 인공지능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내에 사람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대화형 캐릭터 에이닷

에이닷은 SK텔레콤에서 개발한 OpenAI의 ChatGPT 기반의 대화형 챗봇 캐릭터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AI 캐릭터와 대화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인공지능 ai 챗봇서비스 - 에이닷

지금까지의 업데이트된 기능을 보면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된 홈 화면을 제공되며 개인화된 Quick 메뉴, 음성이나 채팅으로 대화 기능 등으로 개인의 선호도에 맞춘 다양한 볼거리와 콘텐츠를 캐릭터와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에이닷은 스마트폰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캐릭터와 테마를 선택하여 자신만의 개성 있는 에이닷을 만들 수 있습니다.


뤼튼(Wrtn)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인공지능 ai 챗봇서비스 - 뤼튼

뤼튼(Wrtn)은 뤼튼테크놀로지스 개발한 OpenAI의 ChatGPT 기반의 생성형 AI입니다. 기본적으로 챗GPT와 같이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실시간 채팅이 가능합니다. ChatGPT 와 차별성이라고 한다면 ChatGPT를 활용한 다양한 컨텐츠입니다.

뤼튼에서 제공하는 툴을 사용하면 자기 소개서, 독서 감상문 ,블로그 포스팅, 유투브 숏츠 대본 생성, 이메일, 쇼핑몰 상세 페이지, 마케팅 광고 문구 생성 등 다양한 업무나 생활에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보자들도 비교적 쉽게 접근하도록 직관적인 UI와 편리성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챗GPT 카톡 askup

askup은 국내 대표 AI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개발한 챗GPT(ChatGPT) 기반 생성형 챗봇 AI입니다.

현재 카카오톡과 라인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askup만의 특징은 업스테이지의 OCR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문서의 사진을 찍거나 전송하면 그 내용을 읽고 이해하고 답변이 가능합니다.

업스테이지의 OCR 기술은 다양한 글꼴, 배경에서도 비교적 정확하게 문자 인식이 가능합니다. 사용자는 텍스트로 작성된 문서나 손글씨 이미지를 AskUp에 보내면 번역된 내용과 함께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자 등록증, 계약서, 업무 문서 등 다양한 서류도 AskUp에 질문하면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텍스트로 처리도 가능합니다.


네이버 클로바 X

네이버 클로바 X는 네이버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언어모델을 적용한 생성형 AI입니다. 네이버에서 개발을 한 것이기 때문에 한국어 및 한국의 사회적 맥락, 법률 등에 특화되어 있고 네이버의 강점인 방대한 쇼핑과 뉴스 블로그 검색 데이터들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결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이퍼클로바 X는 챗GPT보다 한국어를 6500배 더 많이 학습한 초대규모 AI이고 검색에 특화한 ‘서치 GPT’를 백본으로 활용하다고 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