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vs 평균임금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인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내용인데요. 한번쯤 들어보셨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요. 통상임금, 평균임금 뉴스나 보도 매체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이 둘의 차이점에 대해서 잘 모르고 계신 분들이 많은데요. 둘 다 법적으로 보장이 되는 급여입니다.
지금부터 자세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차이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근로자의 임금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이고 적용 범위에 있어 중요한 차이가 있는데요. 쉽고 간단하게 먼저 설명을 드리면 평균급여는 실제 매 달마다 수령하는 급여이고 통상급여는 근로계약서 상의 급여라고 보시면 됩니다.
통상임금
그래서 통상 급여는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대해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 받기로 정해진 임금을 말하고 기본금과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이 포함이 됩니다. 따라서 비일률적인 야근 수당이나 매해 변동이 있는 인센티브 등은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평균임금
반면에 평균임금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의 평균 급여를 말합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실제 받은 급여 기준이기 때문에 성과금이나 야간 수당 등이 모두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평균 급여는 실제로 받은 임금의 평균 임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3개월 동안 지급 받은 총 급여 에 총 일수를 나눈 임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높게 산정이 되고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낮을 경우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대체하기도 합니다.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차이 핵심 정리
- 평균임금은 실제 받은 임금
- 통상임금은 근로계약서 상의 일률적으로 지급 받기로 정해진 임금
- 일반적으로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높음
-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낮을 경우 통상임금으로 대체하여 퇴직금 및 근로 수당을 산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