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창업 지원금 종류 신청 방법 활용 방법 , 이것만 알면 끝!

학원 창업 지원금 종류 신청 방법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학원을 창업하기 위해서는 학원 건물 임대부터 간판, 마케팅 , 강사 채용 등의 많은 비용이 필요하게 됩니다.

하지만 학원 창업에 필요한 비용이 부족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 학원 창업 지원금이라고 해서 정부에서 학원 창업에 대한 비용을 지원해 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학원 창업 지원금 관련 모든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학원 창업 지원금 안내 사진

학원창업 지원금

학원창업 지원금은 학원을 처음 창업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창업 초기의 자금 부담을 줄여주고자 정부나 관련 기관에서 제공하는 재정적 지원제도입니다. 학원창업 지원금의 주요 특징과 종류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원금의 종류 및 특징

소상공인 지원 및 청년 창업 프로그램

학원 창업 시 대부분의 원장님들은 은행에 대출을 하시게 되는데요. 문제는 대출 금리가 높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학원도 소상공인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소상공인 지원센터를 통해 저금리 대출이나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성 원장님의 경우 여성창업지원센터나 여성기업종합포털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금융와 부대 비용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청년 학원 창업자 분들은 청년 창업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창업 자금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 디지털 전환 지원 및 스마트 기술 도입 지원 사업

학원을 운영하다 보면 다양한 프로그램과 스마트 장비들이 필요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온라인 강의나 화상 회의 같은 스마트 기기나 프로그램 시스템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 자체 비용으로 환경을 세팅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게 되는데요. 이럴 때는 스마트 기술 도입 지원 사업 또는 스마트 기기 디지철 전환 지원 사업 등의 정부 지원 사업을 활용하시면 정부 지원금으로 스마트 기기 시스템 구축이 가능합니다.

강사 인건비 지원

그리고 학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습 과목에 맞는 강사를 채용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도 정부 지원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특히 34세 미만인 청년을 강사로 채용할 경우에는 2년간 1,200만원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신청 시 학원에는 강사가 최소한 한 명은 고용이 되어 있는 상태여야 신규 채용 시 추가 채용에 대해서 지원금을 받을 수가 있고 학원 고용 강사 인원의 50%까지 신규 채용인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케팅 지원

학원을 운영하다 보면 외부 마케팅 즉 SNS 홍보나 학원 홈페이지 구축 또는 학원 간판, 전단지, 지역 홍보 등의 학원 마케팅에 필요한 비용도 정부 지원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물론 100% 지원은 아니고 10~20%정도는 자부담이 필요합니다.

관련 정부 사업으로는 경영지원개선 사업이나 역량 강화 사업 그리고 온라인 판로 지원사업 등의 정부 지원 사업으로 지원을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학원창업 지원금 신청 방법 및 절차

학원창업 지원금 신청은 위에서 언급한 필요한 지원 사업을 검색하셔서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시면 되는데요. 주로 K-Startup 포털이나 소상공인진흥공단 홈페이지 또는 여성창업지원센터 홈페이지 등에서 관련 지원 사업을 검색 후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오프라인 방문 신청도 가능한데 지역의 소상공인진흥공단이나 여성창업지원센터를 방문하셔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학원창업 지원금 활용 방법

시설 및 교육 시스템 구축

  • 학원 공간 임대 보증금 및 인테리어 비용으로 활용
  • 필요한 교육 장비 및 기자재 구입 (컴퓨터, 프로젝터, 교구 등)
  • 교재 및 학습 자료 제작
  • 온라인 교육 시스템 구축
  • 온라인 수업 플랫폼 구축

마케팅 및 홍보

  • 온라인 마케팅 (웹사이트 제작, SNS 광고 등)
  • 오프라인 홍보 (전단지, 현수막, 지역 광고, 간판 등)

인력 채용

  • 우수 강사 채용을 위한 초기 인건비로 활용

운영 자금

  • 초기 운영비 (임대료, 공과금, 급여 등)로 활용

학생 복지 향상

  • 학습 환경 개선 (공기청정기, 편의시설 등)
  • 학생 상담 프로그램 도입

Scroll to Top